본문 바로가기

철학/철학적 질문3

나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은 사실 굉장히 간단하면서도 답이 잘 안 나오는 질문이다. 매일 같은 얼굴을 보고, 같은 생각을 하며 살지만, 우리는 자주 ‘내가 누구인가?’ 하고 되묻게 된다. 그럼, '나'는 대체 무엇일까? 우리가 ‘자아’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히 내 생각이나 감정을 뜻하는 걸까? 아니면 더 깊은 무언가가 있는 걸까?   자아, 그 흔들리는 거울  우리는 자주 “나는 누구인가?”라고 묻지만, 그 질문에 대답을 하기가 어렵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했다. 즉, 내가 생각할 때, 나는 존재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자주 혼자서 생각하는 것 외에도,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아를 찾아간다. 자아는 그저 내 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누군지를 알기 위해선 다른 .. 2025. 3. 10.
종교와 철학: 신은 존재하는가? ‘신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철학과 종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로 다뤄져 왔다. 이 질문은 인간 존재의 의미와 우주의 본질에 대한 깊은 탐구를 요구하며, 이를 통해 우리가 세상과 자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결정짓는다. 종교와 철학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매우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신학적, 철학적 논의가 얽혀 있는 복잡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신의 존재에 대한 여러 철학적 이론을 탐구하고, 종교와 철학이 신의 존재를 어떻게 다루는지 살펴보겠다.  신의 존재에 대한 철학적 논의  신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려는 대표적인 철학적 시도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다섯 가지 길'이 있다. 아퀴나스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로, 세상에 존재하는.. 2025. 3. 9.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은 인간 경험의 가장 본질적인 감정 중 하나다. 사랑이 무엇인지 묻는 것은 단순한 감정의 문제를 넘어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랑을 세 가지 측면에서 고민해 보았다. 첫째, 사랑은 수학적으로 기술될 수 있는가.둘째, 사랑이 감정이 아니라 의지의 문제라면 우리는 왜 사랑하기로 마음먹는가.셋째, 사랑은 왜 우리에게 필수적인가.   1. 사랑은 수학적으로 기술될 수 있는가 사랑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생물학적 반응으로서의 사랑을 측정할 수 있다면 그것이 사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까?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을 볼 때 심장 박동수, 그 사람을 바라보는 빈도, 하루 동안 그 사람을 떠올리는 횟수등을 측정해 볼 수는 있다. 이런 방식으로 사랑.. 2025. 3. 5.